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생활정보

[파킹형ETF]파킹형통장과 비교/단기자금을 투자(운용)하는데 적합

by hee스토리 2025. 2. 12.
반응형

파킹형ETF/ 파킹형통장

 

미국 트럼프 행정체제에 대한 관세정책 등 해외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국내도 이와 더불어 주식시장이나

금리시장이 안정화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오갈때 없는 투자자금들이 잠시 대기하기위해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들어오는 단기성 예금이나 펀드에

자금이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이 단기성 투자자금은 어디로,

그리고, 왜 들어가고 있을까요?

일단 [파킹형ETF/파킹형통장]이 인기가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파킹형ETF]에 최근 한달간 3천억원 이상이

들어가 현재 총잔고가 38조이상의 규모가 되었다합니다.

해당 상품으로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리고 파킹형통장과

비교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킹형ETF] 란?

-. 변동성이 심한 장에  원금손실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잠깐 투자를 쉬고, 들고 있는 현금을 잠깐 차를 추차하듯이 자금을 잠깐 넣어 놓고 이자수익을 분배받는 상품을 말함.

-. 파킹형 ETF 운용 기초자산은 CD금리, KOFR(한국 무위험 지표금리), SOFR(미국 무위험 지표금리), MMF(머니마켓펀드) 등이 이에 해당됨.

📌ETF(Exchange Traded Fund)란?
-.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
-. 주식처럼 언제어디선 시장에서 사고팔고 가능한 펀드로 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이라 보면 됨.

 

 [파킹형ETF] 종류

①양도성예금증서(CD)

   -. 은행의 정기예금을 기반으로 해당 증서의 양도를 가능하게 하는 무기명 상품으로 운영됨.

   -. RISE CD금리액티브, KODEX CD금리액티브 등

②한국 무위험 지표금리(KOFR)

   -. 국채나 통안증권을 담보로 초단기 거래로 진행하여 매일 이자수익이 확정되는 초단기 복리효과가 있는 특징이 있음.

   -. KODEX KOFR금리액티브, TIGER KOFR금리액티브 등

③미국 무위험 지표금리(SOFR) 

   -. KOFR과 비슷, 미국의 국채나 통안증권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특이사항은 환차익, 환차손이 발생할수 있어 달러강세인 경우 운영수익외에 추가 수익이 더해져 수익율이 높아질수 있음.

   -.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 ACE 미국달러SOFR금리 등

④머니마켓펀드(MMF)

   -. 단기 금리(기업어음CP,CD,콜 등)의 등락이 펀드 수익률에 바로 반영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초단기 공사채형 상품임.

   -. RISE 머니마켓액티브, KIWOOM 머니마켓액티브, SOL초단기채권액티브 등 

반응형

 [파킹형ETF] / [파킹형통장] 비교

구분 파킹형ETF 파킹형통장
거래가능
금융기관
증권사 은행
장점 -.입금(투자)한도액 없음
-.금액별 금리 차등 적용하지 않음
-.파킹형통장보다 수익률 높음
-.주식매매를 하는 분이라면 따로 가입하지 않고 주식시장에서 매수가능함.
-.ISA나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투자가능

-.입출금이 자유로움
-.수수료 없음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보호받음
※5천만원->1억원 2025부터적용예정
-.저축효과와 복리효과가 있음
단점 -.입출금은 자유롭지만, 주식시장을 통해 매도시 3일째 되는날 일출가능
-.펀드운용보수가 펀드수익률에 녹아있고, 주식으로 매도시 매매수수료가 발생될수 있음.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보호를 받지않음.
※하지만, 실제 자산은 한국예탁결제원에, 자금은 수탁은행에 보관되어 있기때문에 안전함.
-.파킹형ETF에 비해 낮은 수익률
-.입금한도액 있음
-.예금자보호법에 적용되는 금액 이상은 보호되지 않음.
-.입금시점보다 금리가 변동(3개월마다)될수 있음. 
※금리하락시 불리
상품종류
예시
-.SOL초단기채권액티브
-.RISE 머니마켓액티브
-.KODEX KOFR금리액티브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 등
-.하나은행 달달 하나통장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토스뱅크 통장
-.케이뱅크 생활통장
-.OK저축은행 OK짠테크통장 등

 

금액이 1억이상 단기적으로 입금해 놓는다라면

은행의 파킹통장보다는 증권사의 파킹형ETF로 입금하셔서

운용하시는것을 조심스럽게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파킹통장과 파킹형ETF의 장단점을 잘 고려하고

본인에게 맞는 상품으로 잘 선택하셔서 운용하시길 바랍니다.

해당 펀드별 운용수익률은 펀드별 운용성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거래처 증권사를 통해 자세하게

확인해 보시고, 단기상품이더라도 기초운용자산이

뭐냐에 따라 수익률도 달라질수 있으니,

증권사 전문상담사를 통해 더 많은 수익이 나는 상품으로

알아보시고, 참고로 운용자산규모가 적게 운용되는

펀드보다 규모가 큰 펀드가 유리하니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맞는 운용상품으로 거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