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생활정보

[청년도약계좌] 월70만원 5년만기 정부기여금 정부지원금/국민,신한,하나,농협,우리,기업 등

by hee스토리 2025. 2. 2.
반응형

청년도약계좌/정부지원정책

청년들을 위한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정책으로

사회출발시 자립할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수있게 

도와주는 정부의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이와관련하여 신청방법과 지원내용이 뭐가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할께요.

 

 지원대상

① 나이조건 : 만 19세 ~ 34세 이하

  ※ 병역의무 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계산시 빼고 계산됨. ☞ 병적증명서 확인필요   

    😊현역병, 상근예비역 및 의무경철, 의무소방, 사회복무요원, 장교, 준사관 및 부사관 등  

📌예시) 36세이고 병역의무 이행기간이 5년인 경우라면?
     ☞ 36-5=31 이기 때문에 지원가능

② 소득조건 : 직전년도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해당

  ※단,육아휴직급여(유아휴직수당), 군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③ 가구조건 :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250% 이하이어야 함.

  ※직전년도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확인

📌중위소득 250% 기준 ☜ 2025년도 기준
가구원수 중위소득
250%(연)
중위소득
100%기준(연)
중위소득
100%기준(월)
1인 71,760,390 28,704,156 2,392,013
2인 117,979,740 47,191,896 3,932,658
3인 150,760,590 60,304,236 5,025,353
4인 182,933,190 73,173,276 6,097,773
5인 213,245,760 85,298,304 7,108,192
6인 241,944,150 96,777,660 8,064,805
7인 268,002,000 107,200,800 8,933,400

④ 금융소득조건 : 직전 3년중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1회라도 해당되지 않아야 함.

📌여기서 잠깐!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란? 은행예금의 이자나 주식의 배당금, 채권이자 등의 금융소득을 합쳐서 연 2,000만원이 넘는 경우 다른 종합소득과 합산해 누진세율로 과세되는 대상자를 말함.
반응형

 지원내용

① 납입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해 비과세 혜택

② 납입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 납입금액의 3%~최대 6% 적용

   -. 개인소득 6,000만원 미만까지 지급 ☞ 소득없는 경우 미지급

   -.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포함),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 총급여 기준으로 정부기여금 지급비율 6%로 산정

📌정부기여금 ☜ 2025년 적용기준
개인소득기준
(총급여/종합소득)
납입액기준
월 최대 정부기여금
총급여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1,600만원이하
최대 33,000원
40만원이하 6%
70만원이하 3%
총급여2,400만원 초과~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2,600만원이하
최대 29,000원
50만원이하 4.6%
70만원이하 3%
총급여3,600만원 초과~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3,600만원이하
최대 25,200원
60만원이하 3.7%
70만원이하 3%
총급여4,800만원 초과~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4,800만원이하
최대 21,000원
70만원이하 3%
총급여6,000만원 초과~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6,300만원이하
0
※ 6,000만원 초과인 경우 정부기여금은 미지급되며 은행 적용금리만 적용되어 비과세됨.

③ 개인신용평가점수(KCB,NICE) 가점 부여

   -. 2년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시 개인신용평가점수 최소 5~10점이 가점됨.

 

 신청방법

① 신청기간 : 매달 초 신청 ☞ 보통 첫영업일~2번째 금요일까지

    ※ 서민금융진흥원( https://www.kinfa.or.kr )공지사항 / 청년도약계좌( https://ylaccount.kinfa.or.kr )에서 안내    

② 신청방법

   -. 신청가능 은행(11개) :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iM뱅크)

   -. 신청기간에 해당 은행의 온라인(앱)이나 방문을 통해 신청가능

    ※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가능

   -. 신청후 2주간 서민금융진흥원의 심사를 거쳐 신청기준 익월 초에 은행의 안내에 따라 앱을 통해 계좌개설 진행

③ 신청흐름도

이미지출처:서민금융진흥원

④ 서민금융진흥원 심사절차

   -. 나이 및 개인소득 확인

   -. 가구원 확정 및 정보제공 동의

   -. 가구소득 확인

   -. 확인결과 통보

 

 계좌관련 참고사항

① 입금한도 : 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적립가능 

② 가입기간 : 60개월(5년)

③ 적용금리 : 정부기여금 적용비율(납입금액별 최대6%)과 별도로 적용되는 금리

    -. 기본금리 연 4.5~최고 6% ☞ 은행별 우대금리(급여이체,자동이체,마케팅동의 등)에 따라 금리가 차이날 수 있음.

    -.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 변동금리 적용

    -. 적용금리는 비과세 혜택

④ 만기전 인출 가능

    -. 2년이상인 경우 납입원금의 40%이내 인출가능

⑤ 중도해지 혜택

    -. 3년이후 중도해지인 경우 비과세 유지, 정부기여금 60% 지급 유지

⑥ 유의사항

    -. 청년희망적금이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

      ※청년희망적금 만기후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연계하여 만기수령금으로 일시납입 가능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불가

    -. 1년마다 가입자의 개인소득을 재확인하여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을 재산정함.

      ※가구소득은 확인하지 않음  

    

주식이나 선물옵션등 위험자산보다 무위험자산으로

저축하는 걸 선호하는 분이라면

본인 연소득금액과 가구원 기준소득금액을 대충이라도
확인해서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납입금액별 차이는 있지만 정부기여금이 포함되어

시중 은행금리보다 2배이상 차이나게 저축이 가능하니

될지 안될지 고민마시고 일단 신청하셔서

목돈마련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